2015년 4월 23일 목요일

방언 기도 그 오역의 역사(1편) - 구약 전서와 마가복음,사도신경 편

 '모든 사람은 자기가 믿는데로 보고 싶어하고 듣고 싶어한다' 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방언 기도에 대해 절대적인 믿음을 갖는분은 아래 내용이 불편 할것이고, 조금이라도 의구심이 있는분이라면 온전히 방언 기도의 허구성과 폐해를 이번 기회에 잘 알게될것입니다.

일단, 우리가 기도를 한다는것은 성령님을 통해 하나님과 영적으로 교통하고자 하는것입니다. 그런데 성령님은 평화롭고 인자하시며 모든것이 질서정연한곳에 임하십니다.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이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 갈라디아서 5:22

즉, 각 단어대로 성령님의 우리와 함께 하는 특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개인적으로 해석이됩니다. 

"성령님은 기쁨이시고 화평한 가운데 임하시며 인내하고 절제하며 자신과 타인에게 자비의 마음과 선행을 통해 온유한 마음으로 주님께 순종하며 살아갈때 임하는것입니다."

그런의미에서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지혜와 명철을 우리에게 주시고 진실된 복음을 결단코 우리에게서 감추지 않으시는 주님께 호산나 입니다.


먼저,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쓰여지는것은 확실하나 방언(方言) 과 같은 출처도 근본도 알수없는 몇몇 외국 신부들이 가지고 있었던 성경을 중국언어로 대충 해석하여 기록한 성경을 1900년대에 끌고 들어왔던것이 문제였고 그것을 정확한 검증없이 약식번역한것이 여러 문제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또한 한글은 지속적으로 한자음과 더불어 변형이 되어왔습니다.

당시 구 한말 조선의 한글 성경의 뜻이 어떻게 우리가 보는 현대 한글 성경에까지 재해석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And their children spake half in the speech of Ashdod, and could not speak in the Jews' language, but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each people. 그 자녀가 아스돗 방언을 절반쯤은 하여도 유다 방언은 못하니 그 하는 말이 각 족속의 방언이므로  - 느헤미야 13:24

Then spake the Chaldeans to the king in Syriack, O king, live for ever: tell thy servants the dream, and we will shew the interpretation.  갈대아 술사들이 아람 방언으로 왕에게 말하되 왕이여 만세수를 하옵소서 왕은 그 꿈을 종들에게 이르시면 우리가 해석하여 드리겠나이다 - 다니엘 2:4

Then an herald cried aloud, To you it is commanded, O people, nations, and languages
반포하는 자가 크게 외쳐 가로되 백성들과 나라들과 각 방언하는 자들아 왕이 너희 무리에게 명하시나니 - 다니엘 3:4

Thus saith the LORD of hosts; In those days it shall come to pass, that ten men shall take hold out of all languages of the nations, even shall take hold of the skirt of him that is a Jew, saying, We will go with you: for we have heard that God is with you.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는 방언이 다른 열국 백성 열명이 유다 사람 하나의 옷자락을 잡을 것이라 곧 잡고 말하기를 하나님이 너희와 함께하심을 들었나니 우리가 너희와 함께 가려하노라 하리라 하시니라 - 스가랴8:23

영어(English) 를 조금만 아는 사람들은 방언이라는 단어가 곧 외국어라는걸 바로 알것입니다. 
그래서 헬라어에서 직역된 영어성경에선 단수가 아닌 복수로 쓰여졌다는것도 바로 보이실겁니다. 


그러나 한글 개역 성경에서는 한자어 단 하나로 문맥의 입장과 해석에 상관없이 '방언" 이라는 약간 의미가 신비스럽기까지 한 중국한자의 어려운 단어로 사용을 하였습니다.

즉, 우리가 보는 개역성경등은 그 번역 초기 문서가 학문적으로 정확히 출처도 알수 없는 중국 한자를 기본으로 하는 문맥과 단어에서 왔기때문에  읽는 독자들이 혼돈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면 방언 기도를 절대적으로 믿는분들이 보는 신약에서의 성경 구절을 전부 다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은 지면상 사도신경까지만 다루겠습니다)

And these signs shall follow them that believe; In my name shall they cast out devils; they shall speak with new tongues믿는 자들에게는 이런 표적이 따르리니 곧 그들이 내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며 새 방언을 말하며 - 마가16:17

신약 성경에서부터는 languages 보다는 tongues 라는 단어를 본격적으로 쓰게 됩니다. 그러면 이 단어를 영어 정통 사전에서는 어떻게 쓰는지 살펴보면 바로 보일것입니다.

---> None of the tribes speak the same tongue

그 부족들 중 어느 부족도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영어 사전)


즉, 마가 복음 16장에서 쓰인 '새 방언을 말하며'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11 제자를 불러모아서

새로운 언어 즉 이방세계에 나아가 악마들도 쫓고 새 외국어도 너희들이 말하게된다는 

지중해 지역의 외국 및 여러 그 당시 세계 선교 목표를 두고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And he said unto them, Go ye into all the world, and preach the gospel to every creature. 
또 그들에게 가라사대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 마가 16:15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부활

하시고 승천하신후 

사도 바울은 당시 세계 선교로 나아가면서 

이 여러 방언 즉 여러 외국어로 말하는 

기적을 사도신경에서 기록하고 있는것입니다.


-- 사도 신경 12장 전체 내용 중 --

And they were all filled with the Holy Ghost, and began to speak with other tongues, as the Spirit gave them utterance. 저희가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방언으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Now when this was noised abroad, the multitude came together, and were confounded, because that every man heard them speak in his own language
이 소리가 나매 큰 무리가 모여 각각 자기의 방언으로 제자들의 말하는 것을 듣고 소동하여

And how hear we every man in our own tongue, wherein we were born? 
우리가 우리 각 사람의 난 곳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찜이뇨?

Phrygia, and Pamphylia, in Egypt, and in the parts of Libya about Cyrene, and strangers of Rome, Jews and proselytes, 브루기아와 밤빌리아, 애굽과 및 구레네에 가까운 리비야 여러 지방에 사는 사람들과 로마로부터 온 나그네 곧 유대인과 유대교에 들어 온 사람들과 Cretes and Arabians, we do hear them speak in our tongues the wonderful works of God. 
그레데인과 아라비아인들이라 우리가 다 우리의 각 방언으로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함을 듣는도다 하고 Others mocking said, These men are full of new wine. 또 어떤이들은 조롱하여 가로되 저희가 새 술이 취하였다 하더라
사도신경 12장 10~15

이렇듯, 정통 성경은 우리에게 방언의 정의를 확실히 하여 후대에 잘못된 오역이 없겠끔 길게 설명까지 달아놓았습니다. (여기서 새 술에 취했다고 본것은 그러한 기적과 같은 동시 번역을 듣도 보지도 못하여 그것을 본 일부 사람들이 술취해 보였다고 말을 한것입니다. 이 부분은 마리아와 일부 여자들이 성령을 받고 각자 외국어로 기도하는모습도 그렇게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연약하고 영악한 후대의 인간들은 우리가 보고 성령의 말씀이다라고 하는 번역 성경에 잘못된 해석과 문맥의 모호함 혹은 단어의 불충실을 통해 정통 교리나 뜻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였습니다.

그 대표적인 교회들이 바로 한국 대형 교회들입니다.

고린도 전후서부터 얘기되는 귀신들린듯한 "방언" 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할텐데,

우선 고린도 교회들을 다음에 다루기전에 당시 그 지역 교회들은 거의 10가지 문제가 동시에 터진 교회내의 교리적 다툼과 잘못된 의식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사도 바울이 여러가지로 권면하는 장이고 눈물로써 설득하는 서신들이 전부내용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예수 그리스도는 분명히 기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습니다 (마태복음6장)

"But when ye pray, use not vain repetitions, as the heathen do: for they think that they shall be heard for their much speaking. 또 기도할 때에 이방인과 같이 중언부언하지 말라 저희는 말을 많이 하여야 들으실 줄 생각하느니라

And when thou prayest, thou shalt not be as the hypocrites are: for they love to pray standing in the synagogues and in the corners of the streets, that they may be seen of men. Verily I say unto you, They have their reward. 또 너희가 기도할 때에 외식하는 자와 같이 되지 말라 저희는 사람에게 보이려고 회당과 큰 거리 어귀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하느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저희는 자기 상을 이미 받았느니라


But thou, when thou prayest, enter into thy closet, and when thou hast shut thy door, pray to thy Father which is in secret; and thy Father which seeth in secret shall reward thee openly." 너는 기도할 때에 네 골방에 들어가 문을 닫고 은밀한 중에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은밀한 중에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갚으시리라

여러분들 한번 묻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중언부언 하지않고 말을 많이 하지 않는 기도입니까? 어떻게 하면 우리가 은밀한 중에 조용히 하나님 아버지께 기도를 드릴수 있겠습니까? 

더 이상의 어떤 기도가 정말 필요한걸까요? 

네, 

그래서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로 슬픔에 찬 가운데 이 부분을 차분히 다독이며 정리한것이 바로 고린도 전서 전체 내용입니다.

다음 2편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이름으로 전합니다. 아멘